티스토리 뷰
https://arxiv.org/pdf/2312.05391


다양한 Loss에 대한 정성적 결과 및 정량적 결과를 비교해볼 수 있다.
semantic segmentation 비스무리한 task를 시도해보고 있는 게 있는데 극심한 class imbalance 상황이라 기존 연구들은 어떻게 해결했는지 찾다가 괜찮아보여서 블로그에 저장해둠.
'Deep Learn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ace recognition task와 face alignment (0) | 2025.01.31 |
---|---|
arcface 이후에 나온 public available face recognition 모델들 (0) | 2025.01.30 |
나중에 다시 봐볼 논문 Pointly-Supervised Instance Segmentation (0) | 2025.01.22 |
D-FINE 모델의 Backbone Network은 무엇일까? (0) | 2025.01.13 |
나의 세 번째 허깅페이스 스페이스 InternVL2_5-8B (0) | 2025.01.06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FairMOT
- 문제집
- PyCharm
- ㅂ
- 백준
- 단축키
- LCA
- 위상 정렬 알고리즘
- Lowest Common Ancestor
- MOT
- 이분탐색
- 순열
- 인공지능을 위한 선형대수
-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
- 백준 11053
- cosine
- 백준 1766
- C++ Deploy
- 자료구조
- 파이참
- 조합
- 백준 11437
- 백트래킹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