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td::vector matrix(rows, std::vector(cols)); 특정 값으로 초기화하는 경우 std::vector matrix(rows, std::vector(cols, value)); stackoverflow.com/questions/17663186/initializing-a-two-dimensional-stdvector Initializing a two dimensional std::vector So, I have the following: std::vector fog; and I am initializing it very naively like: for(int i=0; i
유닉스 시스템에서는 한 줄의 끝이 LF(Line Feed)로 이루어지는 반면, 윈도우에서는 CR(Carriage Return)와 LF(Line Feed), 즉 CRLF로 이루어져있다. Git은 OS와 상관없이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 변환 기능을 지원한다. 이 기능은 개발자가 git에 코드를 Commit할 때는 CRLF를 LF로 변환해주고, git의 코드를 개발자가 Clone할때는 LF를 CRLF로 변환해준다. 윈도우 사용자의 경우 아래의 명령어 중 하나를 입력하면 된다. git config --local core.autocrlf true 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 true --global을 argument로 주면 해당 PC내에 모든 프로젝트에 이 기능이 적용된다..
Deque는 Double Ended Queue의 줄임말이다. 한국에서는 이를 디큐 혹은 데크로 표기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다. 뭐가 맞을까? 유튜브에 Deque를 검색하여 외국인들의 발음을 들어봐도 누구는 디큐라고 하고 누구는 데크라고 한다. 또 어떤 사람은 더블엔드 큐, 디이 큐라고도 발음한다. 뭐가 맞는지 모르겠다. 내가 생각하기에 Deque는 결국 Queue(큐!)를 기저로 둔 자료구조이므로 De/que로 끊어 읽어 디큐로 발음하는 게 맞다는 생각이 든다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cosine
- 단축키
- 이분탐색
- 문제집
- 백트래킹
- 백준 1766
- 위상 정렬 알고리즘
- ㅂ
- 백준 11437
- C++ Deploy
-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
- FairMOT
- 인공지능을 위한 선형대수
- 백준
- 조합
- PyCharm
- 파이참
- 백준 11053
- LCA
- MOT
- 순열
- Lowest Common Ancestor
- 자료구조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